2024.05.18 (토)

  • 맑음속초24.0℃
  • 맑음14.1℃
  • 흐림철원14.9℃
  • 맑음동두천17.8℃
  • 맑음파주17.7℃
  • 맑음대관령15.2℃
  • 구름많음춘천14.9℃
  • 흐림백령도15.0℃
  • 맑음북강릉22.9℃
  • 맑음강릉23.8℃
  • 맑음동해24.5℃
  • 맑음서울18.7℃
  • 맑음인천19.1℃
  • 맑음원주15.7℃
  • 맑음울릉도23.1℃
  • 맑음수원18.9℃
  • 맑음영월12.6℃
  • 맑음충주15.6℃
  • 맑음서산19.7℃
  • 맑음울진23.3℃
  • 맑음청주18.4℃
  • 맑음대전17.0℃
  • 맑음추풍령14.9℃
  • 맑음안동15.3℃
  • 맑음상주15.8℃
  • 맑음포항19.7℃
  • 맑음군산19.0℃
  • 맑음대구17.5℃
  • 맑음전주19.8℃
  • 맑음울산19.5℃
  • 맑음창원20.0℃
  • 맑음광주18.5℃
  • 맑음부산19.9℃
  • 맑음통영18.5℃
  • 맑음목포18.8℃
  • 맑음여수17.6℃
  • 맑음흑산도18.3℃
  • 맑음완도19.5℃
  • 맑음고창
  • 맑음순천14.9℃
  • 맑음홍성(예)17.6℃
  • 맑음16.2℃
  • 구름조금제주20.0℃
  • 구름조금고산20.7℃
  • 구름조금성산20.1℃
  • 구름조금서귀포21.4℃
  • 맑음진주15.5℃
  • 맑음강화18.6℃
  • 맑음양평15.2℃
  • 맑음이천16.6℃
  • 구름많음인제12.4℃
  • 맑음홍천12.6℃
  • 맑음태백19.9℃
  • 맑음정선군13.7℃
  • 맑음제천14.5℃
  • 맑음보은14.6℃
  • 맑음천안16.6℃
  • 맑음보령20.6℃
  • 맑음부여17.1℃
  • 맑음금산14.5℃
  • 맑음17.2℃
  • 맑음부안19.1℃
  • 맑음임실15.8℃
  • 맑음정읍20.1℃
  • 맑음남원14.7℃
  • 맑음장수14.0℃
  • 맑음고창군19.8℃
  • 맑음영광군19.4℃
  • 맑음김해시17.7℃
  • 맑음순창군15.7℃
  • 맑음북창원18.7℃
  • 맑음양산시19.7℃
  • 맑음보성군18.0℃
  • 맑음강진군17.8℃
  • 맑음장흥17.2℃
  • 맑음해남19.8℃
  • 맑음고흥18.6℃
  • 맑음의령군17.2℃
  • 맑음함양군14.0℃
  • 맑음광양시18.8℃
  • 맑음진도군19.8℃
  • 맑음봉화14.1℃
  • 맑음영주15.1℃
  • 맑음문경16.2℃
  • 맑음청송군14.3℃
  • 맑음영덕20.9℃
  • 맑음의성15.0℃
  • 맑음구미16.7℃
  • 맑음영천16.5℃
  • 맑음경주시16.7℃
  • 맑음거창12.6℃
  • 맑음합천15.5℃
  • 맑음밀양16.1℃
  • 맑음산청13.2℃
  • 맑음거제17.9℃
  • 맑음남해18.4℃
  • 맑음17.2℃
가치를 세워야 나라가산다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가치를 세워야 나라가산다


KakaoTalk_20240428_101046222.jpg

김병연 서울 대 석좌교수


1990년대 후반 영국 대학 조교수일 때 필자의 연봉은 세전 2000만원을 조금 넘었다. 


4인 가족이 겨우 먹고살 정도였다. 같은 나이 또래의 교사나 소방관과 비슷 한 액수였다. 


교수들의 불만 은 정부를 향했다. 교수노조는 수업을 중지하고 데모에 동참해 달라고 호소했 지만 참여하는 교수는 극소수 였다. 


학교 후문에 몇 명의 교수 가 엉거주춤 서서 월급 인상을 요구 하는 팻말을 들고 있는 정도였다. 


필자는 한 영국인 교수 에게 왜 데모 에 동참하지 않는지 물었 다. 그가 말했다. “내가 좋아서 택한 직업이다.”


가치와 계산이 조화돼야 선진 국 손익만 따지는 한국, 가치 후진국 의사 파업, 저출산도 이에서 비롯 종교와 정부의 역할 절실히 필요하다


한국인은 어떻게 직업을 선택할까. 


세계 가치관 조사에 따르 면 한국인의 84%가 직업 선택의 가장 중요한 기준 으로 월급과 안정성, 즉 평생 소득을 꼽았다. 


조사 대상 47개국 중 한국보다 이 비중이 높은 나라는 에티오 피아, 이집트, 루마니아에 불과했다. 


조사가 행해졌 던 2005~ 09 년에 세나라의 평균 소득은 3000달러 정도였지만 한국은 2만 달러를 넘었 다. 


그런데도 돈 대신 보람과 동료를 택한 한국인의 비중 은 16%에 불과했다. 


반면 스웨덴 인의 76%는 보람과 동료를 직업 선택의 가장 중요한 기준이라고 답했다. 


심지어 같은 아시아권인 일본, 대만, 중국도 이 비중이 50%, 35%, 26% 였다. 


이처럼 생계 유지가 가능한 나라에서 한국 인만큼 직업 선택에 돈을 중시하는 나라 는 없다.


한국의 국력은 성장했지만 가치의 힘은 퇴보했다. 

우리는 경제 개발 시대의 ‘잘살아 보세’ 를 더 발전된 가치로 대체 하지 못했다. 


오히려 외환위 기를 겪으면서 ‘잘살아 보세’ 는 ‘나와 내 가족만 잘살아 보세’로 퇴행 했다. 


성공의 기준이 돈으로 획일 화되다 보니 심각한 깔때기 현상이 생겼 다. 


하나의 목적을 향해 달려간 다수가 깔때기 란 경쟁의 병목에서 쥐어짜이고 뒤틀리고 튕겨 나간다. 


깔때기를 통과 한 사람도 괴롭고 지치기 는 매한가지 다. 소득이 늘어도 행복 하지않다. 자살률이 높다. 


당연히 사회 갈등 수준도 높다. 이해관계가 얽혀 있는 모든 문제에서 갈등이 일어 난다. 


그리고 집단으 로 뭉쳐 기득 권을 방어하려 애쓴다. 


이 같은 고갈 등·고비용 사회에서는 성장은커녕 현상 유지도 버거워진다.


모든 것을 돈 으로 환산하면 가치는 사라 진다. 저출산도 우리 사회의 가치관 이 반영된  결과다. 


예전에는 결혼 과 출산은 가치였기 때문에 비용을 계산해 결정을 내리지않았다. 

선진국의 출산 율이 우리보다 높은 근본 이유도 결혼과 출산을 여전히 가치의 영역에 두고 있기 때문이다. 


의사 증원과 전공의 파업 문제도 이와 유사하다. 


본질적인 문제 는 전공의들이 의사 증원에 따라 미래 소득이 감소할 것을 우려하는 데 있다. 


결국 환자를 치료한다는 숭고한 직업을 소득 창출의 도구로 물신화 (物神化)시킨 까닭이다. 


선진국에서는 계산을 따르는 합리성과 계산 을 거부하는 가치가 서로의 영역을 지키 면서 조화를 이룬다. 


그러나 우리는 모든 가치를 돈으로 환원시 키는 ‘합리성 의 재앙’에 직면했다. 


마음의 힘에서 한국은 아직도 후진국이다.


너와 나를 하나로 연결하는 공동체의 가치를 세워야 한다. 


윤석열 정부는 공동체의 가치 를 민족에서 자유로 전환 하려 한다. 


자유는 인간과 사회의 가장 중요한 가치 이다. 그러나 자유는 너와 나를 묶어주지 못한다. 


약자에 대한 공감과 타인에 대한 신뢰가 있어야 너와 나 사이의 연대 의식이 형성된다. 


그러나 우리 사회의 물질 중심 가치관은 이마저 해체해 왔다. 


자녀 양육에 있어 가장 중요한 덕목을 묻는 세계 가치관 조사 에서 한국은

‘타인에 대한 관용과 존중’ 을 택한 비중 이 최하위인 나라 중 하나 다.


정부부터 신뢰 와 공감을 세우기 위해 노력해야한다. ‘칼의 정책’ 으로썬 통합의 가치를 만들기 어렵다. 


단기간에 정책 목표는 달성할 수 있을지 몰라도 

날카로운 공권력은 자발성과 호의에 기초한 시민 간 연대 를 약화한다. 


비정상적인 의료체계의 짐을 가장 많이 져왔던 전공의의 호소 를 귀담아 듣고 

심각하게 왜곡된 의료수가도 바로잡아야 한다. 


의료수가는 일종의 가격 이다. 


그런데 지금의 의료수가는 자원의 효율적 배분이라는 매우 중요한 가격기능을 무시하고있다. 

주어진 예산 총액을 전제로 의료행위 사이 의 형평성만 따졌기 때문 이다. 


이제라도 희소성 항목을 신설하고 사회과학자를 참여시켜 


기피 의료분야와 지방 및 고난도 의료행위의 희소가치를 반영해야 한다.


종교는 역할을 다하고 있나. 종교는 가치관의 뿌리다. 


사도 바울은 그리스도인을 “가난한 자 같으나 많은 사람을 부유하게 하는 자”라고 했다. 


불교의 유마경에서 유마 거사는 “중생이 아프니 나도 아프다”며 병자와 자신을 동일시했다. 


유교의 인(仁)도 사람 사랑이 핵심임을 가르친다. 


신앙은 영원의 눈으로 현재를 바라보고 초월의 관점에서 인생을 봄으로써 돈과 차별되는 가치를 정련해 낸다.


의사 파업에서 생각한다. 이 땅에 ‘빛과 소금’은 어디로 갔나. 이 시대의 불자는 누구인가. 


유교의 덕목은 어디로 사라졌나. 우리 사회가 신앙인에게 던지는 뼈아픈 질문이다...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