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02 (일)

  • 구름많음속초18.9℃
  • 흐림23.1℃
  • 흐림철원23.1℃
  • 구름많음동두천23.4℃
  • 구름조금파주25.0℃
  • 흐림대관령12.8℃
  • 흐림춘천22.7℃
  • 맑음백령도22.4℃
  • 구름많음북강릉17.1℃
  • 구름많음강릉19.1℃
  • 구름많음동해18.1℃
  • 구름조금서울25.4℃
  • 맑음인천22.2℃
  • 흐림원주23.7℃
  • 구름조금울릉도17.3℃
  • 맑음수원24.3℃
  • 흐림영월23.3℃
  • 구름많음충주24.1℃
  • 구름조금서산24.8℃
  • 흐림울진17.9℃
  • 구름조금청주27.0℃
  • 구름많음대전26.4℃
  • 구름많음추풍령23.7℃
  • 구름많음안동23.2℃
  • 구름많음상주24.3℃
  • 흐림포항18.8℃
  • 구름조금군산22.3℃
  • 흐림대구25.5℃
  • 구름많음전주25.0℃
  • 구름많음울산19.3℃
  • 구름많음창원22.3℃
  • 구름많음광주26.3℃
  • 구름많음부산22.0℃
  • 구름많음통영24.7℃
  • 구름많음목포21.6℃
  • 구름많음여수23.5℃
  • 구름많음흑산도22.6℃
  • 구름많음완도24.8℃
  • 구름많음고창24.1℃
  • 구름조금순천25.2℃
  • 구름많음홍성(예)24.4℃
  • 맑음24.5℃
  • 흐림제주22.1℃
  • 흐림고산20.5℃
  • 흐림성산24.3℃
  • 흐림서귀포23.9℃
  • 구름많음진주27.3℃
  • 맑음강화20.6℃
  • 구름조금양평24.9℃
  • 구름조금이천26.6℃
  • 구름많음인제20.1℃
  • 흐림홍천23.2℃
  • 흐림태백14.7℃
  • 흐림정선군20.6℃
  • 흐림제천22.0℃
  • 구름조금보은25.0℃
  • 맑음천안25.0℃
  • 구름조금보령23.7℃
  • 구름많음부여26.4℃
  • 구름많음금산24.9℃
  • 구름조금24.6℃
  • 맑음부안23.8℃
  • 구름조금임실24.2℃
  • 구름조금정읍25.8℃
  • 구름많음남원26.0℃
  • 구름조금장수22.7℃
  • 구름많음고창군25.5℃
  • 구름많음영광군23.8℃
  • 구름많음김해시22.2℃
  • 구름조금순창군25.2℃
  • 구름많음북창원23.6℃
  • 구름많음양산시23.1℃
  • 구름조금보성군27.5℃
  • 구름많음강진군26.1℃
  • 구름많음장흥26.1℃
  • 구름많음해남25.1℃
  • 구름많음고흥26.7℃
  • 구름많음의령군27.6℃
  • 구름많음함양군27.1℃
  • 구름조금광양시27.9℃
  • 구름많음진도군22.0℃
  • 흐림봉화18.4℃
  • 구름많음영주22.6℃
  • 구름많음문경23.6℃
  • 흐림청송군19.7℃
  • 흐림영덕17.5℃
  • 구름많음의성25.7℃
  • 구름조금구미26.3℃
  • 구름많음영천21.5℃
  • 구름많음경주시21.0℃
  • 구름많음거창24.4℃
  • 구름많음합천27.1℃
  • 구름많음밀양26.6℃
  • 구름많음산청26.1℃
  • 구름많음거제23.6℃
  • 구름많음남해25.1℃
  • 구름많음23.5℃
김승희 노무사 노동법 문답풀이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사람과 생활

김승희 노무사 노동법 문답풀이

문 : 육아휴직으로 1년을 휴업한 경우 연차유급휴가가 발생하는지?

20230425190704_ac1355f17d759735845954f0d2fc0d2b_2rq0.jpg

김승희 코리아노무법인 노무사


문 육아휴직으로 1년을 휴업한 경우 연차유급휴가가 발생하는지?

 

답 연차유급휴가는 1년을 단위로 하여 일정한 출근율을 갖춘 근로자에게 일정기간 근로의무를 면제 함으로써 정신적·육체적 휴양을 제공하고 문화적 생활의 향상을 기하기 위해 보장된 법정 휴가제도입니다. (대법원 2008.10. 9. 2008다41666 판결) 연차유급휴가는 전년도 1년간 근로의 대가에 해당하는 것이므로 전년도 1년간의 총 소정근로일수 중 근로자가 근로를 제공한 출근일수 비율(출근율)을 산정하여 그 비율이 8할 이상 출근하였을 때 법률상 당연히 발생하는 권리입니다. 문제는 출근일수와 관련하여 근로자가 현실적으로 근로를 제공하지 않는 날(기간)을 출근으로 볼지 아니면 결근으로 볼 것인지 입니다. 근로기준법 제60조 제6항에서 ① 근로자가 업무상의 부상 또는 질병으로 휴업한 기간, ② 임신 중의 여성이 출산전·후 휴가와 사산휴가 기간 ③육아휴직으로 휴업한 기간은 출근한 것으로 본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즉 위와 같은 기간은 기간의 장단(長短)을 불문하고 소정근로일수와 출근일수에 모두 포함 시켜 출근율을 계산 해야 하는 것 입니다.(대법원 2017. 5.17. 2014다4212296 판결) 따라서 육아휴직이 1년 전체에 걸치거나 연간 소정근로일수 전부를 차지하고 있더라도 연차휴가는 정상적으로 발생하는 것입니다.

 

■ 근로기준법

제60조(연차 유급휴가) ① 사용자는 1년간 80퍼센트 이상 출근한 근로자에게 15일의 유급휴가를 주어야 한다.

② 사용자는 계속하여 근로한 기간이 1년 미만인 근로자 또는 1년간 80퍼센트 미만 출근한 근로자에게 1개월 개근 시 1일의 유급휴가를 주어야 한다.

⑥ 제1항 및 제2항을 적용하는 경우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기간은 출근한 것으로 본다.

1. 근로자가 업무상의 부상 또는 질병으로 휴업한 기간

2. 임신 중의 여성이 제74조제1항부터 제3항까지의 규정에 따른 휴가로 휴업한 기간

3. 「남녀고용평등과 일ㆍ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 제19조제1항에 따른 육아휴직으로 휴업한 기간




김승희(공인노무사) ★전남지방노동위원회조정,심판과장  ★여수고용노동지청근로개선지도과장 ★광주지방고용노동청 산재예방지도과장 ★고용노동부 산재보상정책과 ★제주지방노동위원회 위원장역임 광주광역시북구 첨단과기로 208번길28 코리아노무법인 062-526-0006 스마트폰 010-3642-4946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